티스토리 뷰

반응형

다이어트 권고 및 성공 여성

개요

1996년 세계보건기구가 비만은 장기 치료가 필요한 질병으로 규정하였습니다. 그 이후 비만은 현 인류가 극복해야 할 중요한 질병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과체중이나 비만은 건강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칠 수 있어, 다양한 질병에 걸릴 위험도를 높입니다. 또한 과체중, 비만인은 체중을 건강하게 유지한 사람보다 평균적으로 수명이 짧았습니다.

비만의 정의

비만은 단순히 체중이 많이 나가는 것보다는 체내에 과다하게 많은 양의 체지방이 쌓인 상태를 의미

근육량이 많고 체지방 증가가 없는 드문 경우에는, 체중이 많이 나가더라도 비만이라고 할 수 없음

최근에는 전신의 체지방 축적보다 내장지방 복부 비만이 중요하다는 사실이 알려졌으며, 또한 피하지방보다 복강 내 내장지방의 축적이 중요하다는 연구가 제기되었습니다.

비만의 원인

섭취한 영양분에 비해 에너지 소비 저하로, 여분 에너지가 체지방 형태로 축적되는 현상(섭취한 음식량에 비해 활동량이 부족할 때 생김)

불규칙한 식습관, 과다한 음식 섭취, 운동 부족, 내분비계통 질환, 유전적 요인, 정신적 요인 및 약물 등이 비만의 현실적 원인

체중변화의 모습 이미지

비만의 진단

체질량 지수 기준

- 체질량 지수 : 체중(kg)을 신장(, m)의 제곱으로 나눈 값(키에 비해 체중이 적당한가를 파악하는 방법, 특별한 장비 불필요로 가장 많이 쓰임)

체질량 지수가 25를 넘으면 비만(참고 : 8.5~22.9 정상, 23.0~. 24.9 과체중, 과체중 25.0~29.9 비만, 30 고도비만)

체질량 기준

허리둘레 기준(일반적인 측정법/개인이 측정 가능)

- 줄자로 허리둘레를 측정하여 복부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전신 비만 이외에 복부 비만을 진단하는 보조적인 수단),

- 남성의 허리둘레가 90cm 이상, 여성의 허리둘레가 85cm 이상이면 복부 비만 진단(동양인 기준)

내장지방 기준

- 복부 비만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하기 위한 정밀 수단(복부 지방 CT 촬영)

- 촬영 결과 내장지방과 피하지방의 비율이 0.4 이상인 경우를 내장 지방형 비만 진단

비만 치료(목적)

비만과 연관된 합병증을 예방 치료

비만은 대부분 유전적이거나 후천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복합적 현상

비만 치료의 기본(생활 습관의 변화)

- 활동을 최대한 늘리기 위해 단거리는 걷기

- 승강기 대신 계단을 이용하기

- 텔레비전 시청 피하기(특히 먹으면서 텔레비전 시청)

- 식이조절 및 운동을 규칙적이고 꾸준하게 실천하기(내 몸에 맞는 식단. 운동)

각종 질환의 생성 위치 이미지

약물치료

- 지방분해효소 억제제 : 체내 지방 몸 밖 배출 작업(부작용으로 설사·지방 변 발생)

- 식욕억제제 : 비만치료제로 대체 사용 가능(의사와 상의 후 사용)

- 고도 비만 환자 : 위장관에 대한 비만 수술이 치료에 도움

당뇨병환자의 나쁜예후 도표

과체중 관리대책(주요 건강 문제)

당뇨병이나 고혈압 같은 질병은 비만과의 연관성이 널리 알려졌지만, 천식 역시 비만과 연관될 정도로 비만은 만성적인 질병의 근원이며 그 자체로 질병입니다. 그래서 체중 관리가 필요합니다.

비만자와 비만 아닌자의 희망사항 표현
 
 
 

 

 

 

 

 

반응형